(재)호남문화재연구원

학계소식

> 소식창 > 학계소식

(국영문 동시 배포) 남원 청계리 청계 고분군, 호남 최고(最古)‧최대(最大) 가야 고총 확인

2019년 11월 06일 10:46

관리자 조회 1471

- 국립나주·완주문화재연구소, 현장설명회 개최 / 11.7. 오후 2시 -


  문화재청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소장 임승경)와 국립완주문화재연구소(소장 오춘영)는 국정과제인 <가야문화권 조사‧연구와 정비> 사업의 하나로 추진 중인 ‘남원 청계리 청계 고분군’ 발굴조사를 통해 청계 고분군이 현재까지 호남 지역에서 발굴된 가야계 고총 중에서 가장 이르고, 가장 규모가 큰 고총임을 확인하였다. 발굴성과는 오는 7일 오후 2시에 현장설명회에서 공개한다.
  * 발굴현장: 전북 남원시 아영면 청계리 산 8-7번지


  남원 청계리 청계 고분군은 남원 아영분지 일대의 최대 고분군인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사적 제542호), 남원 월산리 고분군(전라북도기념물 제138호)을 내려다보는 높은 곳에 위치하고 있다.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와 국립완주문화재연구소는 가야계 고분군이 밀집한 곳에 자리한 남원 청계리 고분군의 성격을 밝히고 보존‧활용 방안 마련을 위해 지난 5월부터 현재까지 정밀발굴조사를 추진 중이다.


  이번 조사에서는 ▲ 호남 지역에서 가장 이르고 규모가 가장 큰 가야계 고총의 구조와 축조 방법, ▲ 호남 지역에서 최초로 발견된 수레바퀴 장식 토기 조각을 비롯한 다수의 함안 아라가야계 토기, ▲ 호남 지역 가야 고총에서 최초로 확인된 왜계 나무 빗(수즐, 竪櫛) 등 남원 아영분지 일대 고대 정치조직의 실체와 변화상을 규명할 수 있는 새로운 자료들을 확보하였다.


  고분은 시루봉(770m)에서 동쪽으로 뻗어 내린 산 비탈면 말단부의 능선 위에 있다. 고분은 본래 지형을 `L`자형으로 깎아내고, 다시 성토하면서 평탄면을 만든 후에 되파거나 성토와 동시에 매장시설을 안치하여 조성되었다. 남쪽 비탈면 일부에서는 도랑(주구, 周溝)이 확인된다. 고분의 평면 형태는 타원형으로 추정되며, 고분 방향은 능선과 나란한 남북방향이다. 규모는 남아있는 봉분을 기준으로 길이 약 31m(도랑 포함 34m 내외), 너비 약 20m, 남아있는 높이는 5m 내외로 현재까지 발굴된 호남 지역 가야계 고총 중에서 가장 큰 크기다. 
  * 성토(盛土): 성질이 다른 흙을 서로 번갈아 가면서 쌓아올리는 기술
  * 남원 월산리 고분군 약 20m 내외,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 32호분 약 21m, 창녕 교동 7호분 32m


  매장시설은 돌덧널(석곽, 石槨)로 총 3기가 ‘T’자형의 구조로 배치되어 있다.  2호 돌덧널(5.4×1.6×1.3m)과 3호 돌덧널(5.8×0.7×1.1m)은 거의 동시에 봉분 성토와 함께 만들었다. 1호 돌덧널(5.7×1.15×1.65m)은 2호 돌덧널의 끝자락에 덧붙여 만들었다. 동쪽과 북쪽 비탈면에는 봉분이 흘러내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돌(즙석, 葺石)을 깔았다. 매장시설의 구조나 배치 양상으로 보아, 2호 돌덧널이 중심 시설(주곽)임을 알 수 있다.


  3기의 돌덧널은 모두 도굴의 피해가 심했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호남 동부지역의 가야 정치체의 실상을 밝혀줄 수 있는 귀중한 자료를 다량 확보할 수 있었다. 2호 돌덧널에서는 ‘수레바퀴 장식 토기’ 조각을 비롯하여 중국자기 조각, 그릇받침(기대, 器臺)와 굽다리접시(고배, 高杯) 등 아라가야계 유물이 다량 출토되었다. 수레바퀴 장식 토기는 아라가야를 대표하는 유물로, 현재까지 전하는 유물로는 함안 말이산 4호와 전(傳) 의령 대의면에서 나온 출토품이 있다. 1호 돌덧널에서는 다량의 아라가야계‧대가야 토기와 함께 나무 빗(竪櫛)이 확인되었다.


  수레바퀴 장식 토기(차륜 장식 토기, 車輪 粧飾 土器)는 호남에서는 최초로 발견한 사례로, 굽다리 접시 대각 위에 U자 모양으로 뿔잔 2개가 얹혀져있고 좌우에 흙으로 만든 수레바퀴가 부착된 아라가야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 나무 빗(竪櫛)은 묶은 머리를 고정시키는 용도의 작은 빗으로 일본 야요이 시대부터 많이 확인되며, 우리나라에서는 부산, 김해, 고흥의 삼국 시대 고분에서 출토된 바 있다.


  중앙부에서는 다량의 꺽쇠와 관못도 출토되었다. 3호 돌덧널은 규모와 위치로 보아 2호 돌덧널의 부장곽으로 추정되나, 아쉽게도 도굴로 인하여 동쪽 단벽에서 손잡이가 있는 뚜껑 1점만 출토되었다.


  남원 청계리 고분군은 출토 유물로 보아 인근에 있는 남원 월산리 고분군이나 남원 유곡리와 두락리 고분군에 비해 빠른 5세기 전반으로 추정된다. 고분의 축조기법이나 출토유물에서 토착적인 요소(성토와 매장시설의 동시 조성, 도랑의 확인)와 외래적인 요소(T자형의 돌넛덜의 배치, 아라가야·대가야·왜계·중국 유물)가 함께 보이고 있다. 이러한 요소들은 당시 주변 지역과 활발한 대외교류를 통해 새로운 발전을 모색한 운봉고원 고대 정치체의 역동성을 엿볼 수 있다. 


  문화재청 국립나주문화재연구소와 국립완주문화재연구소는 남원 청계리 청계 고분군을 남원 월산리 고분군과 함께 국가지정문화재로 보존‧관리할 수 있는 다각적인 방안을 마련하여 호남 지역 가야의 역사와 문화에 대해 새롭게 조명해  나갈 계획이다. 



Korean archaeologists discover earliest tomb from Gaya confederacy era (42-562) in Jeollado region
- Na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and Wan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to hold meeting of advisers and briefing for media in Cheonggye-ri, Namwon, Jeolla Bukdo (North Jeolla) at 2pm on Nov. 7 (KST). -

Na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Wan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Jeon Yong-Ho Researcher (061-339-1120), So Jae-Yun Researcher (063-290-9311)
Korean archaeologists have discovered the earliest and largest tomb from Gaya confederacy era (42-562)1 in the Jeollado region. Na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and Wan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have been conducting an archaeological exploration on a group of tombs in Cheonggye-ri, Namwon, Jeolla Bukdo (North Jeolla) as part of efforts to investigate and refurbish areas of the Gaya culture, one of incumbent administration’s key projects. The two research institutes will hold a meeting of advisers and a briefing for media at the site2 at 2pm on November 7, 2019 (KST).
1. Gaya was a confederacy of territories that existed in southern Korea between the first and sixth centuries. It existed during Korea’s Three Kingdoms era (57 B.C.-A.D. 668), which refers to the time when the three powerful kingdoms on the Korean Peninsula - Goguryeo, Baekje and Silla –vied for control.
2. The address is 8-7 San, Cheonggye-ri, Ayeong-myeon, Namwon, Jeolla Bukdo.
Na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has been excavating a tomb in the ‘Cheonggye Tomb Complex,’ from May of this year. The ‘Cheonggye Tomb Complex’ is located on a great height overlooking ‘Yugok-ri and Durak-ri Tomb Complex,’ the largest tomb concentration in the Ayeong basin area of Namwon, as well as ‘Wolsan-ri Tomb Complex.’
The exploration was designed to find out the tomb’s characteristics and to come up with ways to preserve and utilize it.
From the excavation, archaeologists ▲learned the structure of and construction techniques used in the earliest and largest tomb from Gaya in the Jeolla region, ▲uncovered numerous pieces of earthenware from Ara-Gaya3 which include a piece of earthenware decorated with wheels4, plus dish holders and elevated dishes, ▲as well as discovering a Japanese-style wooden comb5, first to be found from a Gaya tomb in Jeolla.
3. ‘Ara-Gaya’ was a city-state kingdom that was part of Gaya confederacy, in modern-day Haman County.
4. This type of earthenware was a unique to Ara-Gaya. On an elevated dish, two drinking horns are placed to make a U-shape and wheels made of earth are placed on each side.
5. Wooden combs, used to further fixate hair that is tied back, is often found from Japan’s Yayoi period (300 B.C.-A.D. 300). They have also been found from tombs from Korea’s Three Kingdoms era in Busan, Gimhae and Goheung.

LARGEST GAYA TOMB IN JEOLLA
The tomb Korean archeologists examined is located on a ridge that comes down eastward from Siru-bong, or Siru mountaintop, in Mt. Gonamsan. They believe that in order to construct the tomb, workers first cut into the mountainside and piled up soil to create level ground in an L-shape. After this, they dug the ground again to construct the burial facility. Archeologists also discovered a ditch to the southern side of the tomb.
The tomb’s flat surface was an oval-shape, and its major axis fell in north and south in line with the mountain ridge, archaeologists believe. Based on what’s left of the mound, the tomb was approximately 31 meters long (34 meters including the ditch), 20 meters wide and 5 meters high, making it the largest Gaya tomb ever to be found in the Jeolla region6.
6. ‘Wolsan-ri Tomb Complex’ measures approximately 20 meters (in diameter); ‘Yugok-ri and Durak-ri Tomb Complex’ 21 meters; and ‘Tomb No. 7 in Gyodong, Changnyeong’ 32 meters.
The tomb had three stone outer coffins which were aligned to create a T-shape. In cases of stone outer coffins 2 and 3, workers simultaneously dug into the soil and added new soil to make sure the burial was strong enough. Stone outer coffin No. 1, on the other hand, was created adjacent to the end of stone outer coffin No. 2. In the east and north sides of tomb, workers piled up stones to make sure the mound does not slide down. Based on the structure and alignment, it is clear that stone outer coffin No. 2 was designed to be the center of this tomb.

EARTHENWARE WITH WHEELS
Although all three stone outer coffins have been significantly damaged by robbery, archaeologists were able to uncover relics that could provide important clues to Gaya’s political system in the eastern part of the Jeolla region.
They found from stone outer coffin No. 2 a piece of earthenware that feature wheels as well as several dish holders and elevated dishes - artifacts typical of Ara-Gaya. In particular, the earthenware decorated with wheels is signature relic of Ara-Gaya and has been discovered in Haman and presumably in Uiryeong.
From stone outer coffin No. 1, archaeologists found a wooden comb - which is believed to have been manufactured in Japan and brought to the Korean peninsula - in addition to various pieces of earthenware of Ara-Gaya and Dae-Gaya. They also found clamps and nails.
Stone outer coffin No. 3 appears to have been an annex to stone outer coffin No. 2 based on its size and location. Because of robbery, archaeologists were able to uncover just a lid with handle made of earth from this coffin.

EARLY FIFTH-CENTURY TOMB
Based on artifacts uncovered, researchers believe that the tomb was constructed in early part of the fifth century – which makes it older than nearby ‘Wolsan-ri Tomb Complex’ and ‘Yugok-ri and Durak-ri Tomb Complex.’
The construction techniques used and relics found display both the local culture as well as external influence. Simultaneously digging the soil and adding new soil to make sure the burial was strong enough, and creating a ditch are both signs that the people of Gaya embraced indigenous tradition. The T-shaped alignment of coffins and relics from Ara-Gaya, Dae-Gaya and Japan, on the other hand, are foreign elements. This makes researchers believe the ancient political system of Gaya in this region actively sought exchanges with surrounding regions and remained versatile as a way to survive and thrive.
Na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and Wanju National Research Institute of Cultural Heritage plan to designate ‘Cheonggye Tomb Complex’ as state-designated cultural heritage (historic site) along with ‘Wolsan-ri Tomb Complex’ and devise ways to preserve and manage the site and shed new light on the history and culture of Gaya in Jeolla.